보건관리

[보건관리자 필수 업무] 직무스트레스 관리(측정방법 및 관리)

원뉴 2023. 3. 16. 14:04
반응형

오늘은 보건관리자 업무 중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때 항상 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누가 해결해 주냐고 보건관리자 업무를 하는 친구들끼리 하소연했던 기억이 불현듯 납니다.

 

직무스트레스란?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의미합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와 관련하여 조직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 사이에 불균형이 생길 때 일어납니다. 그 원인은 물리적 환경, 조직 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 관련 스트레스 요인, 개인 관련 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조직 외 관련 스트레스 요인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가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하는 관련 법령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제1항 제2호에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 및 근로조건 개선을 해야 합니다.

사업주 등의 의무가 왜 보건관리자의 업무가 되는지 의문이 생길 수 있지만 보건관리자는 사업장에서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를 보좌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조치)

사업주는 근로자가 장시간 근로,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 차량운전 및 정밀기계 조작작업 등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하 "직무스트레스"라 한다)이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 제1항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1. 작업환경·작업내용·근로시간 등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고 근로시간 단축, 장·단기 순환작업 등의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

2. 작업량·작업일정 등 작업계획 수립 시 해당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할 것

3. 작업과 휴식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등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을 개선할 것

4. 근로시간 외의 근로자 활동에 대한 복지 차원의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

5. 건강진단 결과, 상담자료 등을 참고하여 적절하게 근로자를 배치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 건강문제 발생가능성 및 대비책 등에 대하여 해당 근로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것

6. 뇌혈관 및 심장질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여 금연, 고혈압 관리 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제26조 제1항 관련)

가. 근로자 정기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련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관련된 법령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직무스트레스 평가 대상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무스트레스 평가 대상 및 평가주기

- 장시간근로자

- 야간작업

- 교대작업

- 차량운전 작업

- 정밀기계 조작작업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처럼 법적으로 꼭 평가를 실시하라고 나와있지는 않지만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을 하려면 직원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고 결과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실시합니다.

대부분의 보건관리자 선생님들께서는 2년 주기로 진행을 하는데 저 같은 경우엔 정해진 법정 주기가 없기 때문에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와 같이 3년 주기로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평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직원들도 직무스트레스는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실시하여 관리했습니다.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합니다.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설문지는 기본형, 단축형 1, 단축형 2, 감정노동 연계형이 있습니다.

안전관리공단 KOSHA GUIDE H-67-2022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을 참고하여 실사하면 됩니다.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와 그 사용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침 적용범위는 근로자 또는 직장에서 부서 및 회사 전체의 집단적 직무스트레스 요인 수준을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 KOSS 기본형은 총 43문항입니다.

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 KOSS 단축형 1은 총 24문항입니다.

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 KOSS-SH2(단축형 2)는 총 26문항입니다.

4.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KOSSⓡ19(감정노동 연계형)는 19문항입니다.

H-67-2022_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pdf
0.24MB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을 첨부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와 같은 주기로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실시했어서 업체에 직무스트레스 평가까지 같이 요청했었습니다.

하지만 직무스트레스 측정의 경우 엑셀 작업으로 평가를 쉽게 낼 수 있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치침을 활용하여 자체 평가를 실시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실시한 후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 안건으로 제시하여 시네마데이, 동호회 활동비 지원 등과 같은 금액이 발생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아무래도 금액이 발생하는 프로그램은 지원받기 힘들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여러분의 업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 지식백과 용어사전

- 산업안전보건법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안전관리공단 KOSHA Guide

728x90
반응형